‘기러기 아빠’ 홀로버티기 2년이 한계
<제2부> 조기유학 엑소더스 양근만응?
입력 :
2007.01.31 00:29
베이징의 한국 밀집지역인 왕징(望京) 부근의 중국어학원은 한국에서 조기유학생 어머니들로
붐빈다. 아이들이 학교에 간 시간에 중국어를 익기 위해서다. 한 어머니는 “열 배워
아이에게 르 생이라고 했다.
조기학 자녀와 함께 온 어머니들의 대다수는 이처럼 자녀 뒷바라지를 위해 헌신한다.
남편과 떨어져 사는 생활이 편할 리 없다. 작년 3월 미국 보스턴으로 께 온 중1, 등
4학년리 유학 아들의 어머니 윤모(37)씨는 “ 빠만이 파할 수 있는 남자
아들의 심리상태를 모르다 보니 반(半) 미치광이처럼 아이들과 싸운 적이 한 번이
아니다”라며 고개를 흔들었다.
보스턴에서 4년째 아들 뒷바라 고 한 어니
말 아이가 을 다쳐 병원 응급실을 가야 했는데, ���떻 해야 할 줄 몰랐다” “애 아빠가
는 사실 실났”고 말다.
이처럼
일상에서 부닥치는 사소한 불편 외에도, 자녀의 성공만을 생각했던 해외생활이 시간이 지나면
차츰 변질되는 경우도 있다. 부부가 오랜 기간 떨어져 생활할수록 외로움은 더 깊어지고, 양쪽
모두 주변 유혹에 쉽게 져드는 것이다.
얼마 전 영국에서는 자녀를 돌보기 위해 온 남녀 사이에 정분(情分)이 나 한동안
교민사회가 크게 술렁거렸다. 한국에서 직업을 가진 아내 대신 자신이 영국에 직접 와서 아이들을
돌보았던 A씨. 그리고 남편은 한국에서 돈을 벌고 그 돈으로 자녀 교육을 시키는 엄마 B씨.
같은 학교에 자녀를 통학키던 두 사은 자연스럽게 해다. 곧 사람들의 눈에
띄었고, A씨 부인에게도 이 사실이 알려졌다. A씨 가족의 조기유학은 그걸로 끝이 났고, B
가족도 큰 후유증을 겪었다.
조기유학 현지 상담문가들에 따르면 한의 ‘기러 아빠’가 참고 버티는 한계는 대체로
2년 정도라고 한다. 이 기간이 지나 ‘기러 아빠’가 견지 못한다. 또 기유학 간
엄마 아이들도 외국에 속 고 싶어해, 가정이 파국으로 이는 우가 많다는 것.
2005년 아내와 중학생 아이를 가포르에 보낸 최모 “술 먹지 않기 위해 운동 등
스 빽빽하게 고 말했다. 1년간 캐다 쿠 중2 아들을 돌봐온
김모(43)씨는 “아이가 현지 교에 더 다니고 싶어했지만, 애 아빠와 더 떨어져 사는 게
좋은 것만은 닌 것 같아 돌아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조기유학으로 이 해체되는 이 중에는 돈 문제도 많다. 박모씨는 작년에 초등학교
5학년 아이를 데리고 캐다 토토로 학 갔다 6개월 만에 울로 돌아왔다.
씨는 “서울에 있는 남편에게 토론토에 집을 사자고 했가 회사원 월급 뻔히
알면서 있냐며 엄청 화 더니 그 뒤는 1개월 동안 전화를 아예 받지
않았다”며 “이다가 큰일 나겠다 싶 1 마 급히 돌아왔다”고 말했다.
yangkm@chosun.com
보스턴=윤정호기자
jhyoon@chosun.com
런던=김
hellojin@chosun.com 캐나=정성진기자
sjchung@chosun.com 말레이시아=김남인기자
kni@chosun.com
필리핀=선정민
sunny@chosun.c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1/31/2007013100038.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