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의 오페라 ‘춘희(椿姬)’가 1948년 1월16일 명동 시공관에서 초연됐다.
의사이자
성악가였던 이인선이 제작·번역·남자주인공의 1인3역을 소화했고, ‘한국 오페라의 대모’ 김자경이 마금희와 함께 여자주인공
‘비올레타’역을 맡아 한국최초의 ‘프리마 돈나(prima donna)’가 됐다. 연출은 서항석, 지휘와 연주는 임원식과
고려교향악단이 맡았다.
5일동안 전회(10회) 매진을 기록하며 무성한 화제를 불러일으켰지만 제작자가 ‘숫자’에 밝지 않다보니 집과 피아노를 처분해야
했다.
한번 ‘춘희’는 ‘영원한 춘희’였다. 김자경이 오페라에 눈을 뜬 것도 ‘춘희’였고, 그가 1968년 창단한 ‘김자경오페라단’이 첫
작품으로 올리고, 김자경이 세상을 뜨기 석달 전 마지막으로 공연한 것도 ‘춘희’였다.
김자경은 자서전에서 “‘춘희’가 이어준 오페라와의 인연으로 오페라에 살고 죽는 ‘오생(生) 오사(死)’ 인생을 살았고, ‘오씨
성에 이름이 페라’인 오서방과 결혼했다”고 말했다.
알렉산더 뒤마의 소설을 원작으로 베르디가 오페라로 만든 ‘라 트라비아타’는 이탈리아어로 ‘엇나간 여자’라는 뜻. 일본인이
‘춘희’라 의역한 것을 우리가 그대로 따르면서 이땅에도 ‘춘희’란 이름이 정착됐다. ‘라 트라비아타’가 초연된 것은 1853년
3월6일 베네치아에서였다.
초연에서는 주연 배우가 극중 인물과 어울리지 않아 실패했으나 이듬해 5월 6일 재공연에서는 대성공을 거두며 비제의 '카르멘'과
함께 공연 횟수가 가장 많은 오페라로 기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