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헨델 (1685-1759) |
| 바흐 (1685-1750) |
| 하이든 (1732-1809) |
| 모차르트 (1756-1791) |
| 베토벤 (1770-1827) |
| 파가니니 (1782-1840) |
| 프랑스 대혁명 (1789년 7월 14일) |
| 로시니 (1792-1868) |
| 슈베르트 (1797-1828) |
| 베를리오즈 (1803-1869) |
| 멘델스존 (1809-1847) |
| 쇼팽 (1810-1849) |
| 슈만 (1810-1856) |
| 리스트 (1811-1886) |
| 바그너 (1813-1883) |
| 베르디 (1813-1901) |
| 스메타나 (1824-1884) |
| 브람스 (1833-1897) |
| 생상스 (1835-1921) |
| 챠이코프스키 (1840-1893) |
| 드볼작 (1841-1904) |
| 푸치니 (1858-1924) |
| 말러 (1860-1911) |
| 드뷔시 (1862-1918) |
| 슈트라우스 (1864-1949) |
| 라흐마니코프 (1873-1943) |
| 쇼스타코비치 (1906-1975) |
| 1. 클래식 음악은 서양 귀족문화의 산물입니다. 위에 열거한 위대한 서양 클래식 작곡가들의 명단입니다. 26명 가운데 파가니니 - 멘델스존 - 베르디 - 브람스(?) - 드보르작(?) - 푸치니 6명 정도 외에는 모두 가난하였습니다. |
| 2. 모차르트 이전의 모든 작곡가는 일종의 음악 길드 (guild) 체제로 교회-왕족-영주-귀족 계급의 영향권 아래 살았습니다. 그래서 고전음악 작곡가 대부분이 음악 집안 출신입니다. 모차르트 때부터 시대가 변하였습니다 (프랑스대혁명의 분위기). 모차르트는 자신의 천재적인 작곡 능력으로 교회-귀족 계급의 영향권을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30-40% 정도 작곡가로서 홀로 설 수 있었습니다. |
| 3. 나의 느낌으로 루드비히 반 베토벤은 70-80% 정도 홀로서기에 성공한 것 같습니다. 그런 홀로서기는 고통스러운 가난을 감수한 결과였습니다. 평생 가난으로 고통 받던 베토벤은 대토지를 소유한 막내 동생 요한에게 원조를 요청하였습니다. 요한은 매몰차게 거절하는 편지를 보냈습니다. |
| “형이 선택한 직업은 원래 곤궁한 생활을 각오해야 되는 것 아닙니까? 형의 가난은 형 스스로 선택한 것이니 책임도 형 스스로 지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 토지 소유자 동생 요한.” |
| 베토벤은 답장을 보냈습니다. |
| “너의 도움은 필요 없다. 너의 설교도 필요 없다.- 두뇌 소유자 형 루드비히.” |
| 베토벤은 끼니를 위하여 자신의 예술적 자존심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예술적 자존심을 지키기 위하여 그가 택한, 아니 택할 수밖에 없었던 생활 방식은 친구들이 비난을 퍼부을 만큼 지독한 구두쇠로 사는 것이었습니다. |
| 베토벤의 유품 가운데는 (우리 시대 표현으로) 그의 스승 하이든과 함께 마신 자판기 커피 두 잔 값 300원 + 300원 = 600원 까지 낱낱이 매일 기록한 가계부가 남아 있습니다. 그야말로 베토벤은 “현실적 가난의 고뇌를 넘어 예술적 환희!” 로 승화하였던 것입니다. |
| <참고: 고규홍, 베토벤의 가계부, 마음산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