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
|
대한민국의 ‘3대 오지’라고 불리는 경상북도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을 흔히 ‘BYC’라고 부르는데, 이 3대 오지 중 아직도 고속도로나 철도가 연결이 안 된 영양군 청기면 무진리(맹촌)의 이동영 할머니 집에서는 매년 늦가을 연중행사로 온 가족과 친척, 친구들까지 함께 모여 김장김치를 담근다. 모두가 초대형 용기 앞에 둘러 앉아 절인 배추에 양념을 버무리며 함께 김장을 하고 있다.
|
|
김장의 출발은 김장김치용 배추의 수확에서부터 시작된다.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에서 김민성씨가 탐스러운 배추를 수확하고 있다.
|
|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에서 김장김치용 배추를 수확한 태기진씨가 트럭 위 김민성씨에게 배추 포기를 던져주고 있다.
|
|
가을걷이가 끝나면 첫서리가 내리기 전에 배추와 무를 수확해서 김장을 담근다. 이동영 할머니댁에서는 올해 김장을 위해 500포기의 배추를 준비했다. 전날 절인 김장용 배추를 3번 헹궈서 물을 빼고 있다.
|
|
김치의 기본 재료는 물론 고추다. 전라북도 임실군 장날에 나온 마른 고추.
|
|
김장을 위해 양념이 숙성되게 미리 버무려 놓은 김치속.
|
|
이동영 할머니가 직접 재배한 밭마늘(논마늘에 비해 알이 작고, 더욱 단단하고, 알싸한 맛이 강한 마늘)을 20접(한접이 100톨)이나 준비해 배추 500포기 김장에 넣었다.
|
|
대한민국 3대 오지 중 하나인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무진리(맹촌)의 이동영 할머니 집에서는 매년 늦가을 연중행사로 온 가족과 친구들까지 모여 김장김치를 담근다. 재빠른 손놀림으로 김장김치 양념을 버무리는 모습.
|
|
이동영 할머니의 막내 외손녀 권나하(초등학교 1학년) 양도 올해는 외할머니 집에서 김장을 하는 연중행사에 참여해 김치를 담그는 방법을 배우고 있다.
|
|
|
보기에 먹음직스럽게 김치속 양념이 버무려진 김장김치가 용기에 담겼다.
|
|
|
김장김치통 밑에는 깍두기보다 크게 잘라서 김장김치와 같이 먹는 ‘무 석박지’가 담긴다.
|
|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무진리(맹촌)에서 김장김치를 담그는 날에는 전통적으로 돼지고기(수육)을 가마솥에 삶아서 김장김치와 곁들여 먹는다. 이동영 할머니의 둘째사위 장주혁씨가 가마솥 불을 지피는 것을 큰딸 남태희씨가 지켜보고 있다.
|
|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무진리(맹촌)에서 김장하는 날에 이동영 할머니 넷째 사위 권오익씨가 김장 양념을 섞고 있는 동안 이동영 할머니가 커다란 통을 옮기며 분주하게 주변 정리를 하고 있다.
|
|
우리 민족의 영토, 역사, 언어, 그리고 문화 중에 절대 빼앗길 수도, 잃어버릴 수도 없는 것이 있다면 바로 우리의 대표 음식인 김치다. 대한민국에서 대통령 미국 순방 때 15시간 전에 출발해서 워싱턴에 도착한후, 신문기자들이 찾는 첫 음식에 김치가 빠지지 않는 것을 많이 보았다.
|
미국에서 자란 필자는 김치를 자주 접할 수는 없지만 기회가 있으면 즐기는 편인데, 1998년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르윈스키 성 스캔들 청문회와 탄핵 취재를 지휘할 당시 백악관 기자실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 그야말로 끝없이 연속으로 이어지는 취재 중 저녁식사를 특별식으로 평소 워싱턴 DC에서 언론사 친구들을 자주 데리고 가던 한식당에서 한식 투고 주문을 자주 했었다.
|
9.11 테러 이전인 1998년 만 해도 영세한 한인 식당에서는 배달 서비스가 없었고 특히 백악관 경내로는 어떠한 음식이나 물건도 외부인이 가지고 들어오지 못했다. 하지만 기자증 소지자들은 김치를 포함해서 거의 무엇이든 반입할 수 있었다.한국TV EVENT
|
한식 저녁식사를 주문할 때는 타 언론사 기자들도 평소 메뉴를 몰라서 못 먹던 한국 음식을 먹기 위해 필자를 통해서 너도나도 주문을 부탁했었는데, 내가 생각해도 미안할 정도로 김치냄새가 백악관 웨스트윙의 기자실에 가득 차곤 했었다.
|
타민족들도 한번 맛이 들리면 자주 찾을 수밖에 없는 우리 음식 중의 대표인 김치가 미주 한인 인구가 늘고 유능한 사업가들이 많아지면서 요즘에는 회원제 대형매장인 코스코에서도 맛있는 김치가 팔릴 정도로 확산됐다.
|
미국 가정에는 냉장고와 냉동고가 있어 고기 등 냉동 음식을 많이 보관한다면, 많은 한국 가정에서는 차는 없어도 김치냉장고가 있는 집이 많다. 김치냉장고가 2대씩 있는 집도 있다.
|
대한민국의 ‘3대 오지’라고 불리는 경상북도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을 흔히 ‘BYC’라고 부르는데, 이 3대 오지 중 아직도 고속도로나 철도가 연결이 안 된 곳이 영양군 청기면 무진리 (맹촌)다. 이곳에서 매년 다섯 딸, 아들, 친정동생, 혼자 사는 딸 친구 등 주변 친척들 집에 겨울 김장김치를 택배로 주기적으로 보내주는 이동영(74) 할머니의 집에서는 매년 늦가을에 가까운 친척, 아들딸 식구 등 3대가 모여서 김치를 담그는 풍습이 있다.
|
이동영 할머니는 1964년 3월, 18세 나이에 김치 담그는 것은 물론, 아궁이에 불 때서 밥을 할 줄도 모를 때 시부모들이 안 계셔서 “시집살이 걱정 없다”는 중요한 이유를 내세운 친정 고모의 중매로 6살 연상 총각에게 시집을 왔다고 한다. 그후 지난 56년 동안 이동영 할머니는 한 해도 쉬지 않고 해마다 김장을 해왔는데, 올해도 배추 500포기 김장을 담갔다. 김장을 많이 하는 해에는 1,000포기를 담근 적도 있다고 한다.
|
배추, 고추, 무, 갓, 마늘, 쪽파, 찹쌀, 양파, 매실청 등 거의 모든 김장 재료를 손수 재배하는 이동영 할머니 집에서는 김장김치를 김치냉장고와 서늘한 김치창고에 있는 항아리에 넣어서 1년 내내 두고 먹는다. 이동영 할머니 김치창고에는 2년 묵은 김치도 있다.
|
www.kang.org/kor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