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네
밥상위에 늘 올려지는 김치. 최근에는 한류 열풍을 타고 그 인기가 세계속으로 뻗어가고
있는 가운데, 김치의 효능이 인정받고 있는 추세다. 막연히 몸에 좋다고 알려진 김치.
과연 그렇게 좋을까?
|
◇김치가 질병예방을!?
|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수십가지에 달하는 김치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재료에 따라 몸에
반응하는 유효 성분이 각기 다른 셈.
|
따라서
우리가 흔히 먹는 배추김치의 경우,배추 자체의 영양도 영양이지만 무엇보다 김치에
버무려지는 양념의 힘이 톡톡히 발휘된다.
|
보통
김치속에 들어가는 마늘은 대표적 항암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또한 마늘 속 유황
성분은 체내의 중금속과 결합해 담즙을 거쳐 변으로 배설되는 것을 돕는다.특히 황사철
마늘의 수은 배출 효과가 탁월해 도움이 된다.
|
또한
김치의 매운맛을 내는 고추의 '캡사이신' 성분이 다양한 효능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밝혀지고 있다. 고추의 캡사이신 성분은 다이어트 효과는 물론, 최근에는 췌장암을
예방 한다는 연구 결과도 나온 상태다.
|
또한
전문가들은 김치가 충치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전하고 있다.
|
시큼한
맛은 침 분비를 증가 시켜 입맛을 돋구는 것은 물론, 입속의 당분을 희석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섬유질인 특성상 치아 사이사이를 청소하는 역할도 한다.
|
이는
어린 아이가 치약을 사용하기 이전의 나이에 사과를 이용해 충치예방을 돕는 역할과도
유사한 기능이다.
|
또한
대표적인 발효식품인 김치는 발효과정을 통해 다량의 유산균이 발생해 이를 이용한 연구들도
한창 진행중이다. 밝혀진 것만 30종이 훨씬 넘는 발효균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올7월
국내 모 기업은 김치 유산균의 항균작용을 이용한 천연향균제를 개발하기도 했다.
|
업체관계자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물론, 리스테리아균 및 이질 원인균인 쉬겔라,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에도 뛰어난 항균력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
연구소
관계자는 "인체임상을 제외한 균실험이 이미 완료한 상태"라며 신약개발 절차에 준하는
임상을 진행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
지난해
서울대 모연구팀은 김치에서 추출된 유산균 배양액을 조류독감에 감염된 닭에 먹인 결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바 있다고 발표하기도 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아시아
곳곳에서 유행하던 조류독감이 한국만 비켜간 것을 두고, 김치에 특정한 힘이 있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낳게 했다. 결과적으로는 실제로 예상이 들어 맞은셈.
|
모
김치 연구가는 "김치의 탁월성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외국으로도 확산되는 추세"라고
전했다. 따라서 김치를 통한 질병예방은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김치도 독이 될 수 있다!?
|
한편
지난 8월 가톨릭대 손숙미 교수는 지난해 보건복지부 용역과제로 전국 성인 552명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성인들이 소금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음식은 김치류 29.6%,
국찌개류 18%, 어패류 13.3% 순으로 나타났다.
|
이처럼
우리나라 국민의 상당수는 소금의 주 섭취를 '김치'로 하고 있다. 게다가 어느나라 보다
위암발생률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김치 이외에 맵고 짠 음식을 즐기는 것과도 무관치
않다는게 일반적인 견해다.
|
따라서
전문가들은 김치의 좋은 효능을 과신해 다량을 섭취 할 경우, 위에 자극을 주고 일부
부작용도 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
A대학
의대 교수는 "김치든 무엇이든 간에 식이요법은 보조적 수단에 그치치않다"며 "일부에서
만병통치약 처럼 미화시키고 두루뭉실 효과를 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밝혔다.
|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김치의 대장암 예방은 재료인 배추뿐 아니라 다른 섬유소도 마찬가지라며,
마치 김치의 유효성분이 대장암을 예방하는 것으로 호도해서는 안된다고 전했다.
|
더불어
한의학계에서도 체질에 따라 일부는 배추김치가 몸에 그다지 좋지 않은 체질도 있다는
설명이다.
|
한편
올해 미국 소화기학회 학술대회(American Digestive Disease
Week)에서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2000명의 한국인 조사대상자 중
17%(334명)나 되는 사람들이 변비를 가지고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게다가
서양인들에 비해 한국을 비롯한 동양인들이 2배 많은 수치로 나왔다.
|
유산균
발효식품인 김치를 많이 먹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변비율이 다른 나라보다 다소 낮을 것으로
예상됐던 것과 비교해본다면, 다소 의외의 결과다.
|
이
처럼 김치만 믿고 있기에는 평소 생활습관 등의 다른 변수가 많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따라서 일부에서 김치를 맹신하고 장점만 부각시키는 것을 경계, 여러가지
측면을 돌아봐야 진정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을 것이라 말하고 있다.
|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
입력 : 2006.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