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원 이준성(32) 씨의 아침 잔의 커피로 시작된다.
|
출근길에 회사 스타벅에 들 ‘드립 커피’를 마신다. 드 커피는 갈아놓은 두에 물을 내려 만드는 커다.
1년 전만 해도 큼지막한 이컵에 커피를 마시는 그를 보고 직 상사들은 “차라리 대접으로 한약을 마시라”며 놀렸다. 하지만 요즘엔 점심식사 후에 체 가 게 과가 .
|
커피 하면 인스트커피 떠올리던 한국 커피장에 변화의 바람이 고 있. 소비들의 입맛이 면서 원두커피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
|
○ 원두커피 시장 성장세
|
한국은 세계 11위의 커피 소비국. 지난해 8만5000여 t, 1억4000만 달러(약 1323억 원)어치의 커피를 수입했다.
한국이 커피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는 어디일까. ‘커피의 나라’ 콜롬비아나 브라질일 것 같지만 정답은 베트다. 베남 전체 수입물량의 40%를 차지한다.
|
베트남에선 인스턴트커피에 쓰이는 로부스타종(種)이 주로 수입된다. 콜롬비아와 브라질에서 수입하는 아라비카종은 품질이 좋아 원두커피에 쓰이는데
상대적으로 수입량이 적다. 하지만 최에는 아라종의 수입이 고 있다.
|
콜롬비아 커피의 한국 시장점유율(금액 기준)은 2004년 16.0%에서 지해 19.4%로, 브라질 커피는 15.6%에서 17.1%로 각 늘었다.
|
커피 수입가공 업체 가비양의 양미라 팀장은 “불과 2∼3년 전만 해도 커피스 등 인스턴트커피 커피시장의 95%였지만 최근 커 체인점이 늘서 원두커가 1020% 하 것으로 추정다고 말했.
|
서구선 원두커피가 전체 비 99%에 이르고 가까운 일본만 해도 원가 절 를 차지한다. 한국이 커피를 수입하는 국가는 그 밖에도 에티오피아 파푸아뉴기니 등 15개국에 이른다.
커피 원두는 대부분 볶지 않은 상태로 60kg씩 자루에 담 여온다. 부산 인천 등에 있는 공장(로스팅 플랜트)에서 볶은 뒤 인스턴트커피로 다시
가공 커피 체인점으로 간다.
|
○ 미국보다 훨씬 비싼 커피 값
|
볶지 않은 커피 원두 국 세 아라비카종이 파운드당 1.1달러, 로부스타종이 0.7러다.
|
1파운드(약 453g)의 커피 원두에 40여 잔의 피가 온. 비 라비카이라고 해도 커피 쓰이는 원두는 26원 그치는
셈. 이쯤 되면 한 잔에 4000원 안팎하는 커피 이 너무 비싸다는 리가 나올 만도 하다.
|
한국의 커 미 도 상당히 비싼 편이. 국내 스타 카페는 잔 3800원(355mL)인데 미국 시에틀에선 2750원이다.
볶은 원두도 한국이 더 비싸다.
|
콜롬비산 ‘나리노 수프리모’는 미국에선 1 11.99달러(약 11400원)이지만 한국에선 절반가량 235g이 한 봉지가 1만5000원으로 2배 이상 비싸다.
|
다국적 커피업체들이 외국에서 커피 원두를 볶은 다음에 한국에 가져오는 데 대해 논란도 있다.
|
국내 커피체인인 할리스커피 김대연 팀장은 “커피 원두는 볶은 지 15일 안에 소비해야 제대로 된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는데 선박으로 수입하면 15일 이상 걸린다”고 말했다.
|
이에 대해 스코 은 “틀에서 커피를 은 특 개발한 진공 포장용기에 담아 운반하기 때문에 문제없다”고 반박했다.
|
|
김선우 기자
sublime@donga.com
|
박중현 기자
|
sanjuck@donga.com
|
|
▼ “그맛 그대로” 식재료 수입도 늘어 ▼
|
외국 음식을 즐기는 이들이 늘면서 우리 밥상에 올라오는 수입 식재료도 늘어나고 있다.
|
요리강사 김동규 씨는 “최근 색다른 조미료를 넣어 개성 있는 맛을 내는 리가 인를 끌면서 수입 조미료를 쓰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국내 주요 백화점에서 잘 팔리는 ‘데체코 파스타면’ ‘웰러스티드 세서미드레싱’ ‘파운틴 핫칠리소스’ ‘독일 퀘네 드레싱’ 등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
이탈리아산 데체코 파스타면을 수입하는 ‘보라티알’의 박환 대리는 “밀알의 겉 부분을 30∼40% 깎 만든 이 파스타면은 쫀득쫀득고 품질이
좋아 이탈리아에서도 가장 많이 팔린다”며 “ 소비자에게도 이런 점이 잘 알려져 인기가 높다”고 말했.
외식 드에 따라 많이 찾는 식재료가 바뀌기도 한다.
|
지난해에는 베트남 쌀국수 전문점이 많아지면서 동남아산 소스와 향신료 매출이 부쩍 늘었다. 올해 들어서는 마시는 식초 열풍이 불면서 외국 식초를 찾는
소비자가 많아졌다.
|
일본 식료는 유 관없이 꾸준히 많이 팔리는 스테디셀러.
|
인기 상품인 올리브유는 국 수 전체 80%가량(2005년 기준 2만2809t)이 스인에 들. 서 수확해 48시간 안 기름을 짠
뒤 20t 크기의 용기에 담아 컨테이너선에 싣는다. 2개월 걸려 한국에 도착한 기름은 국내 공장에서 병에 담겨
판매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