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조(駝鳥) 주세요! | 
	
		| 뉴질랜드 사람들 수마켓이나 식당에서 타조 고기를 주문할 때 
			‘오스트리치(ostrich·타조)’라는 영어 대신 ‘타조(Tajo)’ 한국말을 
			쓴다. 순전히 배효섭(48) 덕분이다. 그는 뉴질랜드에 소비되는 조고기의 99%를 
			공급하는 ‘타조 왕’이다. | 
	
		| 뉴질랜드 북섬 유레웨라 국공원 부. 광활한 숲이 병풍처럼 원을 둘러싸고 있는 에 
			의 타조장 30만  . 한가롭게 풀을 뜯던 타조들은 관광이 탄 
			코끼 열차가 가면 울타리 쪽으로 몰려나와 모이를 받아 먹는다. 뉴질랜드 전역에서 
				수천명이 해마다 배씨의 타조농장을 찾는다. | 
	
		| 한국에서 채권펀드 매니저로 활약했던 배씨가 뉴질랜드로 이민 것 위기 직전인 
			1997년. “1990년대 중반 한국 기업들이 무분별하게 해외투자를 하더군요. 머지않아 
			위기 올 거라는 생이 들었죠. 그때 남은 인생은 외국에서 승부를 보자고 
			결심했습니다.” | 
	
		|   | 
	
		| 이민 8년 만 뉴질랜드 타조 사육업계를 석권한 
			배효섭씨 가족. 큰아들 명선(21·진 왼쪽)는 
			오클랜드대학 졸업 후 건축회사에 근무 이고 막내 
			훈(19맨 오른쪽)군 오랜드대 경영학과에 학 
			중이. 인 정순옥(47)씨는 가에 전념한다. 
			/효섭씨 제 | 
	
		| 고감도 센와 같은 감각이었다. IMF환란이 올 줄 미리 감지하고 뉴질랜드로 떠났다는 것이. 
			미국이나 캐나다를 놔두고 뉴질랜드를 찍은 이유는 자연환 좋고 경쟁이 다는 것, 
			즉 블루오션을 보았기 때문이다. | 
	
		| 그의 꿈 그대로 적중했다. 이민가방을  뒤 8년 만에 뉴질랜드 타조사육업계의 대부(현재 
			랜드 타협장)가 됐다. 왜 하필 타조였을까. | 
	
		| 전 재산을 처분해 뉴질랜드 날아간 배씨  산업 분야에서 반시 성공겠 일로 
			목축, 관광 분 박람회장을 쫓아다녔. 그 중 ‘타조 람회’가 있었다. 아이디어 
			솟구쳤. 광우병, 구제역으로 소고기, 기 주춤하면 웰빙음식인  고기 
			히트를 칠 것 확신이 섰다. 타  소고기와 맛이 비 지방성분은  
			없, 먹는 사량에 비해 배설물 적어 성  보다. | 
	
		| 우선 뉴질랜드의 대시 클랜드에서 20 떨어 곳에 15000평 규모의 농장을 3억 
			샀다. 혈통이 좋 타조를 번식시키는 일종의 ‘씨 농장’이다. | 
	
		| 여기서 운 를 유레웨라국립공원 인근 농장(갈라티아 타조농장)으로 옮겨 대량 사육해 고기를 
			생산한다. | 
	
		| 자금은 현지 은행 부동산담보 대출로 조달했다. | 
	
		| 처음엔 판로개척이 힘들었다. “뉴질랜드 국포츠인 럭비 경기장에 찾아가 ‘타조고기 시식회’를 
			열었습니다. 햄버거 형태로 만든 ‘타조 버거’를 공짜로 나눠주고, 초등 
			급식으로도 제공했.” | 
	
		| 초기엔 주문이 없어 거의 전량을 수출에 의존했지만, 타조고기가 고급육이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주문이 폭발적으로 늘어나 시작했다. | 
	
		| 현재 뉴질랜드에선 배씨의 타조고기(1㎏ 가격 한화 약 3만원)가 소고기(1㎏ 1만8000원 
			선)보다 훨씬 비싸게 팔린다. | 
	
		| 그는 고기를 파는 데만 만족하지 않고 타조 가죽, 타조 오일 등 가공품을 개발하고 최근엔 
			타조농장 견학코스를 팜 투어(farm tour) 관광상품으로 개발, 짭짤한 가외소득까지 
			올리고 있다. 지금까지 배씨의 타조 농장을 다녀간 관광객은 무려 2만여명. 배씨는 
			“지난해 고기판매로만 1억원 이상의 순익을 올렸는데, 관광수익 그 이상”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