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악문 재기집념 "지금은 희망 숙성중"

[IMF 10년 위기를 이겨낸 사람들] <1> 청국장 생산업체 운영 이원직씨. 보증 쓴맛 우울한 귀향→40만원 밑천 포장마차→빈집 빌려 청국장 식당→美에 1억상당 수출까지
냄새 안나는 청국장으로 재기에 성공한 이원직 사장. 지난해에만 연 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충남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청국장 생산업체 '천혜땅'. 회사 간판만 없다면 주변 농가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평범한 건물이다. 내부로 들어서니 청국장 특유의 구수한 냄새가 밀려온다.
이곳이 IMF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재기한 이원직(45) 사장의 사업장이다. 그는 지금은 어엿한 사장이지만 IMF 직전부터 거의 10년 가까이 삶의 쓴 맛을 제대로 보았다.
고향 한산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스무살 때 상경한 그는 구로공단에서 공원생활을 하다 27세때인 1988년 손목시계 조립공장을 차렸다. 종업원 9명을 두고 대기업에 시계를 납품하면서 한달에 1,500만원씩 벌었다. 돈을 모아 대형횟집을 냈는데 이곳에서도 '갈퀴로 돈을 쓸어 담는다'고 할 정도로 장사가 잘됐다.
하지만 1994년 사업하는 친구의 보증을 섰다가 공장을 닫아야 했다. 횟집에도 손님이 끊겼다. 그는 "지금 와서 보니 그게 IMF 전조다"고 회고했다.
서울 생활에 정이 떨어진 그는 마침내 부인과 어린 아들 딸을 설득해 고향으로 내려가기로 했다. 전재산을 정리하니 1억2,000만원이 됐다.
"식용 기러기를 기르면 고소득을 얻을 수 있다는 주변의 말에 전재산을 투자했죠. 하루 사료값만 25만~30만원이 드는 고비용이었지만 시중 판매가가 1마리에 14만원이나 돼 잘만 하면 목돈을 만질 수 있을 것 같았어요."
한창 사업을 펼쳐나가던 즈음 IMF가 닥쳤다. 판로가 막히고 사료 값을 댈 수가 없었다. 결국 1998년 초 남아있던 기러기를 주변에 식용으로 나눠 주고 사업을 접었다. 수중에는 달랑 40만원만 남았다. 귀농 1년 반 만에 1억원이 넘는 돈을 까먹었다.
"전재산을 말아먹었으니 창피하고 죽고 싶더라구요. 하지만 나를 믿고 고향으로 따라온 가족들 얼굴을 생각하니 그럴 수도 없었죠."
그는 40만원을 밑천으로 포장마차를 시작했다. 밤낮없이 장사를 한끝에 4개월만에 500만원을 모았다.
이번에는 식당을 열었다. 사촌형 소유의 빈집을 빌려 청국장과 순대국을 팔았다. 식당에 딸린 단칸방에서 네 식구가 잠을 자면서 그는 "앞으로 자식들 밥을 굶기지만 않고 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식당을 하면서 그는 농촌지역에 배달문화를 도입하는 등 장사수완을 발휘했다. 들판과 낚시터 등 주문이 있는 곳이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았다. 낚시터 좌대마다 번호표를 붙인 아이디어로 주문을 받으면 신속하게 배달했다.
청국장이 인기를 끌자 직접 만들어보기로 했다. 식당을 하면서 모아놓은 2억원을 들여 공장터를 사고 기계와 황토 발효실을 갖춰 2004년 9월 공장문을 열었다.
도 농업기술원과 대학교수 등의 협조를 받아 생청국장과 분말, 환제품 칼국수 캔음료 캔디 등 신제품을 계속 개발했다. 시장 개척을 위해 각종 식품행사에는 빠짐없이 참가했다. 숙박비를 아끼기 위해 찜질방에서 머물면서 제품 홍보를 했고 마케팅을 배우려 대학원도 다녔다.
지난해 8월부터는 냄새 때문에 청국장을 먹고 싶어도 못 먹던 재미동포들에게 '고향의 맛'을 선사하며 1억3,000만원어치를 수출했다. 지난 28일에는 4,000만원어치를 더 선적했다.
담보부족으로 대출을 못받아 공장이 운영난을 겪을 때도 그는 결코 좌절하지 않았다. "40만원으로 시작한 사업인데 망해도 땅은 남을 것이라는 배포가 생겼죠."
공장은 지난해 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앞으로 해마다 매출이 배 이상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기계설비 투자가 끝나 올해에는 수지균형을 맞춰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보고있다.
"고 정주영회장은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라고 했는데 정말 맞는 말 같아요. 몸만 부지런히 움직인다면 어떤 역경도 이겨낼 수 있다고 믿습니다."
서천=글ㆍ사진 허택회기자
thheo@hk.co.kr
입력시간 : 2007/01/01